아이디 비밀번호 로그인 | 회원가입
동명금강낙가사
http://www.templevill.com/

gpwjdtmsla    
혜정 (gpwjdtmsla)
성불하십시요
일반게시판
몸가고 마음가는곳에 아...
그 거사님은 이젠 많이...
사실은 지난번에 말레이...
Happy New Ye...
좋은 말씀 가슴에 담고...
나무소리님도 편안한 나...
진리란 자성의청정본을 ...
어디서 본 듯한 글이네...
부처님께서갖추신 다섯가...
좋은 글 입니다. 마음...
삼법인 三法印
흰여울 rapids
연승. 성원스님
해동마을
보림사
ZERO POINT
자비회
바람
논현동 천지암
맑은하늘의 생각 나누기
 혜정
영어로 세계불교 간다
달리는 큰법당
지장보살(地藏菩薩)
 

 

관세음보살과 함께 가장 많이 신앙되는 보살은 단연 지장보살이다.

범어로는 크시티가르바(Ksitigarbha) 이며,

지지(持地), 묘당(妙幢), 무변심(無邊心) 등으로 번역된다.

그러나 가장 널리 알려진 명칭은 지장보살이다.

 

그는 도리천(도利天)에서 석가모니 부처님의 부촉을 받고

매일 새벽 항하사의 선정에 들어

중생의 갖가지 근기를 관찰하는 보살이다.

 

 또한 부처가 없는 시대, 즉 석가모니불은 이미 입멸하고

 미륵불은 아직 도래하지 않는 시간에

천상, 인간, 아수라, 아귀, 축생, 지옥의 중생들을 교화하는 대비보살이다.

 

특히 지장보살은 지옥에서 고통받는 중생들을 구원하기 위해 짐짓 지옥에 들어가

죄지은 중생들을 위무하고 교화하여 제도하는 위대한 '지옥세계의 부처님'으로 신앙된다.

 {지장보살본원경(地裝菩薩本願經)}에는

지장보살이 석가모니불에게 한 다음과 같은 서약의 내용이 들어 있다.

 

 "지옥이 텅 비지 않는다면 결코 성불을 서두르지 않겠나이다.

그리하여 육도(六道)의 중생이 다 제도되면 깨달음을 이루리다."

 

지장보살은 머리에 천관(天冠)을 쓰고, 왼손에는 연화를,

그리고 오른손에는 보주를 든 모습이었지만,

후세에 이르러 석장을 든 승려의 모습이라든가 동자를 안은 지장의 모습도 나타나게 되었다.

 

또는 육도를 맡아 교화하는 육존지장의 모습이나

전쟁을 갈무리하는 승군지장(勝軍地藏)의 형상도 출현하였다.

좌우에서 보좌하는 존재는 주로 도명존자 (道明尊者)와 무독귀왕(無毒鬼王)이고,

지장보살이 봉안된 전각은 지장전(地藏殿) 또는 명부전(冥府殿), 시왕전(十王殿)이라고 불린다.

 

다시말해서


지장삼륜경』에 의하면

지장보살은 석가모니부처님이 입멸하신 후 미륵부처님이 출현하실 때까지

육도윤회의 현실세계에 몸을 나투어 중생들을 구제하도록

석가모니부처님으로부터 수기받은 분이라고 한다.

 

흔히 지옥이 텅 빌 때까지 성불하지 않겠다는 서원으로 알려진 이 보살에게는 따라서

대원본존이라는 수식어가 붙어 다닌다.

 

 말하자면 중생을 제도하겠다는 맹세가 누구보다도 크고 위대한 분으로,

그 원력의 힘으로 말미암아 자신의 안락은 뒷전으로 돌리고 지옥이든 천상이든

고통받는 중생들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 찾아가서 구원하는 분인 것이다.

한편 지장보살의 형상은 본래는 보살형으로 보관과 영락으로 장엄한 모습이었지만

『지장십륜경』에 의해 차츰 삭발을 한 사문의 모습으로 모셔지게 되었다.

 

사문형의 지장보살은 지옥문을 깨뜨린다는 육환장(석장)과 장상명주라는

어둠을 밝히는 보주를 들고 있는데, 석장의 여섯 고리는 육바라밀을 상징한다.

육환장의 윗부분에는 화불을 모시기도 하는데,

그 부처님은 지장원찬 23불의 첫 번째인 ‘각화정자재왕여래’라고 한다.

 

 

지장보살[地藏菩薩, Ksitigarbha]의 사전적 의미 분석
 

 

(산스크리트K itigarbha는 '땅의 모태'라는 뜻)

인도에서 4세기경부터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중국·한국·일본에서 신앙의 대상으로 매우 널리 숭배되어온 보살.
 

그는 억압받는 자, 죽어가는 자, 나쁜 꿈에 시달리는 자 등의 구원자로서,
지옥으로 떨어지는 벌을 받게 된 모든 사자(死者)의 영혼을 구제할 때까지 자신의 일을 그만두지 않겠다는 서원을 세웠다고 한다.
 
그는 전생에 브라만 집안의 딸로 태어나 석가모니에게 헌신적으로 기도함으로써
자신의 사악한 어머니가 지옥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한 적도 있다.
 
중국에서 찬술한 〈지장본원경 地藏本願經〉에는 효행을 주제로 한
지장보살에 관련된 전설들이 많이 실려 있다.
 
중국에서 지장신앙이 널리 퍼지기 시작한 것은 신행(信行:540~594)이
삼계교(三階敎)를 세우면서부터이다.
 
그는 당시를 말법 시대로 규정하면서,
그러한 시대에는 지장보살을 숭배하는 것이 합당한 일이라고 하여
말법 사상에 기초한 지장신앙을 널리 전파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진평왕 때 원광(圓光)이 〈점찰경 占察經〉에 의거한 신도 조직인
 '점찰보'를 설치하면서부터 지장신앙이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점찰경〉이 모든 중생들로 하여금 지장보살에게 예배하여 자신의 죄를 참회하고
고쳐나갈 것을 권하는 경전이라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지장신앙은 윤리적 특성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본에서 지장보살은 9세기경부터 널리 숭배되기 시작했으며,
 특히 어린이들의 보호자이자 서민들에게 여러 가지 축복을 주는 보살이다.
 

지장보살은 흔히 삭발한 승려의 모습으로,
머리 뒤에는 서광이 빛나고 두 눈썹 사이에는 백호(白毫)가 나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그는 또한 한 손에는 지옥의 문이 열리도록 하는 힘을 지닌 석장(錫杖)을,
다른 한 손에는 어둠을 밝히는 여의보주(如意寶珠)를 들고 있다.
 
지장보살은 고통받는 이들의 요구에 따라 자신의 모습을 바꾸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윤회의 여섯 세계, 즉 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천상에 상응하는 6가지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중국 안후이 성[安徽省]에 있는 주화 산[九華山]은
지장의 성지로서 불교의 순례자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지장보살은 사찰에서 독립적으로 세워지는 명부전(冥府殿)의 주존으로서 신앙되고 있다.
명부전은 지장보살이 주존으로서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지장전이라고도 불리며,
명부의 심판관인 시왕(十王)이 있다고 해서 시왕전이라고도 한다.
 
이 법당에는 지장보살상을 중심으로 봉안하고
좌우에 도명존자(道明尊者)와 무독귀왕(無毒鬼王)을 협시(脇侍)로 봉안한다.
그리고 그 좌우에 시왕을 안치하며 그 앞에 동자상을 안치하고,
판관(判官)·녹사(錄事)·장군(將軍) 등의 존상(尊像)을 갖춘다.
또 대개의 경우 지장보살상 뒤에는 지장탱화, 시왕상 뒤에는 시왕탱화의 후불탱화(後拂幀畵)를 봉안한다.

 

차영림 | 2008.01.29 19:29:14 | 조회수(5330)
Today 2 Total 6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