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 비밀번호 로그인 | 회원가입
해동마을
http://www.templevill.com/

lwd555    
현담 (lwd555)
늘 초심을 생각하며..............................
사는이야기
불교상식
불교법회 및 행사
불교 이야기
경전산책
경전공부
법문
좋은 글
웃고살기!
사찰순례
찬불가
친구의 49재로 정혜사...
26일에 정혜사에 갑니...
다녀오셨군요. 19일 ...
자비로운 그 손길이 참...
항상 변함없으신 현담 ...
불교 세상 이야기
흰여울 rapids
나그네
바람
불교의 첫걸음
연승. 성원스님
활구참선 수행
도라지꽃
jihphoto
바다를 이고 앉아서
 현담
지혜림 나연실
새벽
흰여울 rapids
오직 할 뿐
산산수수
연이
붓다의 메아리
그루터기
단공..그리고 건강
길있는 길
화이트칼라
맑은하늘의 생각 나누기
ZERO POINT
바람
연승. 성원스님
달리는 큰법당

항산(恒産)이 있는 곳에 항심(恒心)이 있다


 

 

 

 

 

항산(恒産)이 있는 곳에 항심(恒心)이 있다

 

맹자의 말에 항산(恒産)이 있는 곳에 항심(恒心)이 있다”. 직역하면 늘 생산하는 것, 즉 의식주가 있어야 변함없는 떳떳한 마음이 생긴다”.

 

2020627일자 불교신문 진광 스님이 쓰신 칼럼이다. 많은 스님들이 수행을 하시면서 안거도 지내시고 여러 해를 살아오시면서 쌓이고 있는 책 등 개인 사물들을 보관할 곳이 없어서 어려움이 많다는 내용이다. 종단 차원에서 해결해주든 각각의 사찰에서 보관처를 마련해 주었으면 하는 뜻이고, 궁극적으로는 스님들이 의식주 걱정 없이 수행정진 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어주었으면 하는 바램이시다. ‘걸망 풀 곳은 있으십니까?’

라고 하듯이 마땅히 거처가 없으신 스님들의 고충이다. 그래서 스님들의 세상에서도 일반 사회처럼 문중 찾고, 도반 찾아서 의지할 수밖에 없고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파벌도 생기고, 갈등도 생기는 것이다. 나도 많은 사찰을 순례해 보지만 자세히는 몰라도 형편이 나은 절과 어려운 절을 쉽게 알아볼 수가 있다. 도심 사찰이나 제법 규모가 큰 절들은 재정형편이 그나마 괜찮으나 시골에 작은 암자들은 상당히 힘든 운영을 하고 계신다. 몇 년 전에 우리 절 도반들과 문경 어느 절에 갔는데 마침 예불을 하고 계셔서 같이 동참한 후에 너무 환희심이 넘쳐 도반들이 십시일반 모아서 보시를 했었는데, 그걸 아시고 주지 스님께서 차를 주시면서 시골 절의 어려움을 말씀하셨다. 그래서 도반 중 몇몇 분이 일 년 등을 더 달아주고 온 적이 있다. 지방에 있는 작은 사찰들을 순례하면서 늘 느끼는 것이지만 좀 더 많은 보시를 할 수 없음에 아쉬움을 간직하고 돌아오곤 한다.

법정 스님이 말씀하신 무소유 정신은 필요한 만큼만 지니라는 것이지만 그 필요한 만큼의 척도가 개개인 마다 다르니, 절이든 개인이든 자신의 처지에 맞게 생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있는 그대로 살아가야겠죠?????

 

2020630일 비오는 아침, 반년이 지나가는 오늘, 현담

2020.06.30 08:04:30 | 내 블로그 담기
스팸댓글 또는 악의적인 댓글의 제한을 위해 사찰에서 블로그를 개설하신 후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311312313314315316317318319320
Today 100 Total 1200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