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 비밀번호 로그인 | 회원가입
해동마을
http://www.templevill.com/

lwd555    
현담 (lwd555)
늘 초심을 생각하며..............................
사는이야기
불교상식
불교법회 및 행사
불교 이야기
경전산책
경전공부
법문
좋은 글
웃고살기!
사찰순례
찬불가
친구의 49재로 정혜사...
26일에 정혜사에 갑니...
다녀오셨군요. 19일 ...
자비로운 그 손길이 참...
항상 변함없으신 현담 ...
삼법인 三法印
흰여울 rapids
나그네
바람
불교의 첫걸음
연승. 성원스님
활구참선 수행
도라지꽃
jihphoto
바다를 이고 앉아서
 현담
지혜림 나연실
새벽
흰여울 rapids
오직 할 뿐
산산수수
연이
붓다의 메아리
그루터기
단공..그리고 건강
길있는 길
화이트칼라
맑은하늘의 생각 나누기
ZERO POINT
바람
연승. 성원스님
달리는 큰법당

천상운집(天祥雲集)은 저절로 오나!!!

 

천상운집(天祥雲集)은 저절로 오나!?

 

천상운집은 천 가지의 상서로운 일이 구름처럼 모여든다는 뜻이다. 신년과 신춘을 맞이하여 축복을 비는 휘호로 많이 쓰는 고사성어이다.

중국의 서민 사이에 널리 애용된 도가류(道家類)의 경서(經書)문창제군음즐문(文昌帝君陰騭文)》〈단계적(丹桂籍)에 나와 있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글에서 유래한 성어이며, 우리나라의 경신록(敬信錄: 착한 일을 권장하고 좋지 않은 일을 경계하는 도교의 가르침을 적은 책)에도 나와 있다.

 

文昌帝君陰騭文:문창제군음즐문丹桂籍:단계적

 

修數百年崎嶇之路(수수백년기구지로): 험하고 험한 수백리길을 고치고

造千萬人來往之橋(조천만인래왕지교): 천만 사람이 다니는 다리를 만들고

垂訓以格人非(수훈이격인비): 비인격자에게 교훈하고

捐資以成人美(연자이성인미): 재물을 기증하여 사람의 미덕을 이루며

作事須循天理(작사수순천리): 천리를 따라 모든 일을 하고

出言要順人心(출언요순인심): 말과 마음이 순한 사람이 필요하고

見先哲於羹牆(견선철어갱장): 옛 선현을 경모하며

慎獨知於芩影(신독지어금영): 혼자 있을 때도 도리에 어긋남이 없고 금영하며

諸惡莫作(제악막작): 모든 악행을 짓지 않으며

眾善奉行(중선봉행): 많은 선을 봉행하고

永無惡曜加臨(영무악요가임): 영원토록 악함을 몸에 지니지 않으며

常有吉神擁護(상유길신옹호): 항상 길신을 옹호하고 가직하고

近報則在自己(근보칙재자기): 자기의 최근의 보고서에서

速報則在兒孫(속보칙재아손): 어린이와 자손에게 빨리 알리면

百福騈臻(백복병진): 백복이 나란히 이르고

千祥雲集(천상운집): 모든 상서러움이 구름처럼 모여드느니라.

豈不從陰騭中得來者哉(기불종음즐중득래자재): 어찌 음즐을 얻은 자에게 하늘이 화복을 내리지 않으리오.

 

<출전 : 실버넷뉴스 김춘원 기자 kimcw98@silvernetnews.com>

 

###문창제군(文昌帝君)은 문창성(文昌星)이 신격화된 것이다. 문창성은 북두칠성의 국자 머리 바깥쪽에 위치한 여섯 개의 별로 이루어진 별자리이다. 여기에는 인간의 운명을 관장하는 문창부(文昌府)라는 천제(天帝)의 관청이 있고, 문창제군은 천제로부터 문창부의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한다.

문창제군은 또 문자에 관계 있는 인쇄업·서점·문방구 등의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조사(祖師)', 즉 직업신으로도 불리었다. 이 신에 대한 신앙은 명대(明代) 이후 널리 일반에 유포된 <음즐문>이라는 <선서(善書)>가 이 신의 가르침이라는 점으로 해서 널리 일반인들로부터 신앙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위키백과>

 

 

  천상운집은 40년 전 쯤에 파주에 근무 할 때, 평소 알고 지내던 선생님이 서예에 조예가 있으셔서 내게 현판을 써 주어서 집에 걸어 놓았던 적이 있었다. 지금은 창고에 들어앉아 있지만 당시로는 신선한 느낌을 주는 좋은 사자성어였다. 늘 새해 벽두에는 회자되는 글귀로 좋은 일이 많이 있으라는 덕담으로 해 주는 말이지만, 좋은 일이 있으려면 자신이 평소에 잘 살아야 한다. 우선은 부처님이 말씀하신 바라밀을 잘 실천하는 일이다. 그 중에서도 보시바라밀이 으뜸이라 하겠다. 보시(布施)에는 법보시(法布施), 재보시(財布施), 무외보시(無畏布施)가 있는데 법보시는 부처님을 가르침을 배우고 익혀서 다른 이에게 전해 주며 나아가서는 실천하도록 노력하고, 일상에서 작은 가르침이라도 실행하는 일이다. 재보시는 재물을 다른 이에게 나누어주며, 특히 어려운 사람에게 보시해 주면서 티를 내지 않는 것이다. 즉 무주상보시(無住相布施)를 해야 한다. 무외보시는 마음으로 측은지심을 내는 일이다. 어려운 사람에게는 도와주어야겠다는 마음을 내고, 아픈 이에게는 위로해 주며 쾌유를 빌어주고, 기쁜 일, 슬픈 일이 있으면 같이 기뻐해 주고, 같이 슬퍼해 주는 동사섭(同事欇)이다.

물론 많은 재물을 주면 좋겠지만 형편에 따라 도와주고, 매사에 겸손하고 자만심을 가지지 않도록 늘 자신을 살펴야 한다. 나도 살아오면서 늘 겸손해야겠다는 마음은 가지고 있지만, 어느 위치나 직위에 서게 되면 자신도 모르게 우쭐해지고 자만심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었다. 나 자신은 잘 모르지만 남들은 이내 느끼며, 특히 나에 대한 감정이 좋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더욱 그러하게 비칠 것이다. 어찌되었든 세상을 잘 산다는 것은 참 힘든 일이다. 동시에 모든 이에게 잘 하면서 살 수는 없다. 부처님이 보시기에 무지하게 부끄럽지 않으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현실에서 중생을 못 벗어나는 한, 그 중생심이라도 비우고 내려놓도록 기도하고 노력을 해 보자.

 

20201월3일 밤 현담 씀

 

2020.01.03 19:08:53 | 내 블로그 담기
스팸댓글 또는 악의적인 댓글의 제한을 위해 사찰에서 블로그를 개설하신 후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341342343344345346347348349350
Today 658 Total 878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