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 비밀번호 로그인 | 회원가입
청암
http://www.templevill.com/

sunjin    
적조월 (sunjin)
발심의 공덕은 측량할 수 없나니 삼세 일체 부처님을 만들어내고 세상 모든 즐거움을 이루어 내며 일체의 수승공덕 증장시키고 일체 모든 의혹은 길이 끊는다.
명상
다르마
예불(동영상)
법구경
사십이장경
백유경
채근담
향을 사르는
명상의 말씀
불교입문
대승경전노트
밀린다왕문경
능엄경-信受奉行
무비스님의 천수경
달마어록
아비달마
달라이라마
혜암큰스님
선(禪)의 뜰에서
고승 33인 법문
선승의 발자취
안심법문
참선
달마선원
지율스님[초록의 공명]
불교설화
불교상식
불교뉴스
좋은이야기
약초나라
아름다운글
쉬어가는곳
생활정보
블로그소개
궁시렁
<나로하여금 나답게...
저의 맘 상태를 확...
마음을 깨끗히 한 다음...
어려운 법문입니다. ...
우리가 찾을 것은 어디...
밤이 깊어 사람들이 잠...
오늘 조금 속상한 일이...
생사를 뭐 그리 어렵...
많이 많이 고맙습니다....
동요가 흐르네요. 잔디...
삼법인 三法印
해동마을
바람
활구참선 수행
지혜림 나연실
단공..그리고 건강
길있는 길
이영희 (^_*)/
일장춘몽(一場春夢)
흠설원
 적조월
연승. 성원스님
지혜(慧)의 문(文)
청량사 루비나
이혜운(지혜의 구름)
이영희 (^_*)/
흠설원
청원낭자네 집~
위빠사나수행소식지 도반
지리산골짜기
슬픈인연
맑은하늘의 생각 나누기
도해의 불교이야기
미륵화
진각마을
하만(何晩)거사
행복을 드리고 싶네요.
묘한거울
달빛그림자
높은음자리
로터스
보리수화원
언제나 처음처럼...
소담스럽게...*^.^*
날마다좋은날되소서
성불하세요
달리는 큰법당
바람
춘성
화이트칼라

이입사행론 - 제24절無我無執如空門

          

 

이입사행론 - 제24절 무아무집여공문(無我無執如空門)



묻기를, [세속 사람들이 가지가지 학문을 닦고 있습니다만

어찌하여 도를 얻을 수가 없습니까?]


답하길, [(그들은) 자기라는 견해에 얽매여 있기 때문에 도를 얻을 수가

없는 것이다. 만약 자기라고 보지 않는다면 곧 도를 얻을 수 있다.

자기라는 것은 나(자아)라는 아집(我執)이다.

지인(至人, 현인, 성인)은 괴로움을 만나도 근심하지 않고, 즐거움을 만나도

기뻐하지 않는 까닭에 자기라고 보지 않는다. 그러기 때문에 괴로워하거나

즐거워하지 않는 것은 자기를 잃어버렸기 때문이다. 허무(虛無)에 도달하게

되면 자기를 숭상하는 것이 저절로 잊혀지는데, 다시 어떤 물건을 두어서

잊지 않으려 하겠는가? 천하에 자기를 잊으려는 것이 자기가 있는 것이다.

만약 자기를 잊으려할 때에 일체법(一切法)이 본래 자기가 없는 것인데

횡설수설하여 사량계교(思量計校)해서 곧 생노병사(生老病死)와 우비고뇌

(憂悲苦惱)와 한열풍우(寒熱風雨) 등의 뜻과 같지 않는 일을 감수하나니

이것은 모두 망상이 나타난 것이며, 허깨비(환상)와 같은 것에서

연유한 것이다.

가고 머무는 것은 자기에게서 연유한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반연(攀緣)을 좇아서 일어난 것이기 때문에 허깨비이다.

횡설수설하여 거역하려는 마음을 내면 가거나 머무는 것을 들으려하지 않으니

그런 까닭에 번뇌가 있게 된다. 자기에게 집착하기 때문에 곧 가고 머무는

것이 있게 된다. 다만 가고 머무는 것이 자기로 말미암은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자기라는 것은 곧 자기라는 객관(我所)이 된다. 이것은 허깨비 같은

법(존재)이니 머물 수가 없는 것이다. 만약 허깨비를 거역하지 않으면 사물을

접촉하여도 걸림이 없으며 만약 능히 변화를 거역하지 않으면 사물을

접촉하여도 후회하지 않는다.]




묻기를, [모든 법(존재)이 이미 텅 비었는데 누가 도를 닦습니까?]


답하길, [누구인가가 있다면 마땅히 도를 닦아야 하겠지만,

만약 누구인가가 없다면 곧 모름지기 도를 닦을 필요가 없다. 누구라는 것,

이것 또한 나(자아)라는 아집이다. 만약 내가 없다면 사물을 만나도 옳고

그르다는 견해를 내지 않는다. 옳고 옳다고 하는 것은 내가 스스로 그것을

옳다고 하는 것이지 사물이 옳은 것이 아니다. 그르고 그르다고 하는 것은

내가 스스로 그것을 그르다고 하는 것이지 사물이 그른 것이 아니다.

가령 바람이나 비와 파랑·노랑·빨강·하얀 색깔 등에 비교해 보면 알 수 있다.

좋고 좋다는 것은 내 스스로 그것을 좋다고 할뿐이지 사물이 좋은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눈·귀·코·혀·몸과 색상·소리·냄새·맛·감촉 등에 비유해

보면 알 수 가 있을 것이다.]

2006.12.29 05:51:28 | 내 블로그 담기
스팸댓글 또는 악의적인 댓글의 제한을 위해 사찰에서 블로그를 개설하신 후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12345678910
Today 1599 Total 381841